About

“with multi-sensory elements of p5.js, we hope people from upper age group can critically engage with their own digital experiences”

p5.js의 다감각적 요소를 활용하여, 윗세대 사용자들이 디지털 경험에 대해 보다 비판적으로 사유하고 또 참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p5 for 50+ Presentation @ 2020 JavaScript Conference Korea

p5 to 50+(50 and beyond) is a Processing Foundation Fellowship 2020 project. It aims to improve the digital literacy and rights of middle-aged and older creators in a non-Anglophone and super-aging society: South Korea. Along with the Korean translation of p5.js website, we will host a weekly workshop where participants of upper age group can critically engage with their own digital experiences with multi-sensory elements of p5.

p5 to 50+(50 and beyond)는 2020년 프로세싱 재단 펠로우십 프로젝트입니다. 프로젝트는 한국이라는, 비영어권 초고령화 사회 속 중장년 및 노년층 창작자의 디지털 문해력 및 권리를 향상하고자 합니다. 프로젝트는 50세 이상의 사용자를 대상으로한 p5.js 학습 자료 및 인터페이스 개발, p5.js 공식 홈페이지 한국어 번역, 그리고 코딩 교육 워크숍 진행을 포괄합니다. 특히, 워크숍은 통해 참여자들이 p5.js의 다감각적 인터랙션과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디지털 경험에 보다 비판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Project Lead Inhwa Yeom is a media artist and XR researcher. In her research projects, she designs, develops, and evaluates AR/VR systems for medical experiences, collaborative creations and learning, mainly in consideration of people with less familiarity or accessibility to 3D interfaces and interactions. Please feel free to contact via linkedingithub, and instagram 🙂 

프로젝트 리드 염인화는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와 증강 및 가상현실(AR/VR)를 연구 중이며, 미디어 아티스트입니다. 주로 3D 인터페이스 및 인터랙션에 대한 접근성이 낮은 사용자들을 위한 AR-VR 기반의 의료, 협업, 저작, 학습 시스템을 설계, 개발, 평가합니다. 링크드인, 깃허브인스타그램을 통해 편하게 연락주세요:) 

Project Lead Seonghyeon Kim is a researcher and media artist working with graphics programming and technology. Currently being a Ph.D Candidate at Visual Media Lab of KAIST, his research interest lies on synthesizing the facial animation of a virtual character. As an undergraduate student, he established a programming club named “Chocoding” for over 100 designers.

프로젝트 리드 김성현은 그래픽 프로그래밍 기술 기반의 리서처이자 미디어 아티스트입니다. 현재, KAIST Visual Media Lab 소속으로 박사 과정에 재학중 입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가상 캐릭터 얼굴 애니메이션 합성이며, “초코딩(Chocoding)”이라는 프로그래밍 클럽을 설립하여 100명 이상의 디자이너를 위한 교육을 진행한 바 있습니다.

멘토 Mentor

치안치안 예 Qianqian Ye

자문 Advisor

로렌 맥카시 Lauren McCarthy

지원 Support

프로세싱 재단 Processing Foundation

협력 Collaborators

2023

바이오브 (BiOVE)

2022

바이오브 (BiOVE)

장석성 (Seogsung Jang)

KAIST 증강현실연구센터(ARRC) 연구원 (Researcher)

황수경 (Sukyung Hwang)

공간:일리 디렉터 및 독립 큐레이터 (Director of Space : illi, Independent Curator)

허대찬 (Daechan Heo)

미디어아트채널 앨리스온 편집장 (Editor-in-Chief of AlliceOn Media Art Channel)

2021

강철민 (Cholmin Kang)

KAIST Visual Media Lab 리서치 어시스턴트 (Research Assistant)

백인환 (Inhwan Baek)

미디어 아티스트 (Media Artist)

이선 (Sun Lee)

이강하 미술관 큐레이터 (Curator of Lee Kangha Arts Center, Gwangju)

장석성 (Seogsung Jang)

KAIST 증강현실연구센터(ARRC) 연구원 (Researcher)

2020

강철민 (Cholmin Kang)

KAIST Visual Media Lab 리서치 어시스턴트 (Research Assistant)

이선 (Sun Lee)

이강하 미술관 큐레이터 (Curator of Lee Kangha Arts Center, Gwangju)